오늘은 도시 계획과 건축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'건폐율'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. 이 글을 통해 건폐율이 무엇인지, 왜 중요한지, 그리고 어떻게 계산되는지 쉽게 알아보세요.
와따마... 어렵죠?
建 세울 건
蔽 가릴 폐
率 비율 율
한자로 풀어보자면 위와 같습니다.
그러니까 건물로 토지를 가릴 수 있는 비율이라는 뜻이 되겠네요.
건폐율 20%의 경우 건물을 지을 토지가 100평이면 그 위에 건물의 1층 면적이 20평 이하로만 건물을 지을 수 있다는 얘깁니다.
왜 건폐율을 알아야 할까요?
건폐율은 도시의 미적인 모습과 기능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높은 건폐율은 더 많은 건물을 지어서 주거 공간이나 상업 공간을 늘릴 수 있지만, 이로 인해 도시 환경이 밀집되어 개방적인 느낌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반면에 낮은 건폐율은 주변 환경을 더 개방적으로 유지하면서 녹지와 공공 공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.
건폐율 계산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?
건폐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:
건폐율 = (건물 면적 / 총 토지 면적) * 100
여기서 건물 면적은 건물의 1층 바닥 면적을 의미하며, 총 토지 면적은 해당 토지의 전체 면적을 나타냅니다.
계산 결과는 백분율로 표시되며,
예를 들어 50%의 건폐율은 해당 지역에서 건물이 전체 면적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이제 건폐율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 간단하게 이해하셨을 것입니다.
도시의 발전과 디자인에 있어서 건폐율은 핵심 개념 중 하나이며,
공간 활용과 환경 보호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.
건축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"용적율"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
건축에 대한 지식이 없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릴테니 함께 따라와보세요.
容 얼굴,모양 용
積 쌓을 적
率 비율 율
한자로 풀어보자면 위와 같습니다.
그러니까 건물이 쌓인 모양의 비율?이 되지 않을까요.
건폐율 20%, 용적율 100%인 100평의 토지라면 그 위에 1층의 면적이 20평/ 2,3,4,5층 각 20평씩 연면적 100평 이하의 건물을 지을수 있다는 얘기 되겠습니다.
디자인을 살린 건물이라면 1층 20평, 2층 18평,3층 20평,4층 18평,5층 24평으로 100평 이하의 건축을 할 수 있겠습니다.
(이런 건물이 가능할지는 모르겠네요....)
용적율은 어떻게 계산될까요?
용적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. 건물의 총 면적을 토지의 총 면적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합니다.
용적율 = (건물 면적 / 토지 면적) * 100
이렇게 계산한 값이 용적율입니다. 예를 들어, 만약 부지 면적이 100평이고 건물의 총 면적이 300평이라면,
용적율 = (300 / 100) * 100 = 300%
이는 해당 토자 내에 건물이 면적의 300%를 차지한다는 의미입니다.
용적율의 중요성은 무엇인가요?
용적율은 도시 계획, 건축 디자인, 부동산 개발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높은 용적율은 많은 공간을 활용하여 건물을 세울 수 있지만, 주변 환경의 개방성을 희생할 수 있습니다.
반면 낮은 용적율은 주변 환경을 보존하면서 건물을 설계할 수 있지만, 공간 활용도는 낮아질 수 있습니다.
용적율은 건축에서 공간 활용과 주변 환경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.
이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기능성과 미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한 건축물을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.
'집 구할때 알아야 할 부동산 용어 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준시가? 공시지가? 공시가격? 감정가? 실거래가? 시세? (0) | 2023.08.24 |
---|---|
다세대주택? 다가구주택? 공동주택? (0) | 2023.08.22 |
등기? 등기부등본? 건축물대장? 토지대장? (2) | 2023.08.21 |
시행사? 시공사? 신탁? 신탁자? 위탁자? 수익자? (0) | 2023.08.20 |
개발부담금? (0) | 2023.08.19 |
전용면적? 공용면적? (0) | 2023.08.16 |
착공? 건축허가? 완공? 준공?사용승인? (0) | 2023.08.14 |